반응형 짧은글86 기울어진 세상(짧은 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보이지 않는 무게로 기울어져 있다. 불공평한 기회, 부조리한 현실, 불안정한 미래가 우리를 계속해서 밀어낼 때마다 이 기울어진 세상 속에서 중심을 잃지 않는다는 건 그 자체로 하나의 예술이다. 흔들릴 듯 흔들리지 않으며 끝까지 나아가는 그 과정 속에 우리의 삶이 있다. #기울어진세상 #불공평 #부조리 #불안정한미래 #미래 #삶 #짧은글 2024. 11. 12. 떡볶이(짧은 글) 떡볶이는 처음엔 가벼운 음식으로 다가온다. 적당히 달콤하면서도 매콤한 맛으로 조금은 평범한 첫인사를 한다. 하지만 몇 입 더 먹으면 그 평범한 매운맛이 서서히 강렬해지기 시작한다. 혀는 감각을 조금씩 잃어가고 이마에 땀이 맺히며 손에는 입안을 달래줄 음료수가 필수품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은 떡볶이를 놓지 않는다. 마치 떡볶이가 나를 시험하는 듯하다. "이 정도면 그만할래?" 하지만 그만두기엔 너무 많이 와 버렸다. 이별할 수 없는 뜨거운 인연 넌 떡볶이!! . . . . 한 번만 잡서 봐 #떡볶이 #매운맛 #달콤 #매콤 #짧은글 2024. 11. 11. 데이트 하기 좋은 경의선 숲길 사라짐을 추억하기 위한 공간에 발길이 닿을 때마다 사라짐은 끝이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이야기되고 기억의 공간은 그 이야기를 품고 다시금 살아나기를 기다린다. 소개 버려진 철길에서 시민들의 문화 산책로로 경의선 숲길은 마포구에서 용산구까지 이어진 총 6.3Km의 선형 공원입니다. 기존의 공원형태를 벗어나 길게 이어진 숲길은 2012년 3월 대흥동 구간을 시작으로 염리동, 새창고개, 연남동 구간, 원효로, 신수동, 와우교 구간이 2016년 전체 조성되었습니다. 철길을 따라 도심을 가로지르는 경의선숲길 은 서울의 대표적인 산책로로 도심과 숲, 과거와 현재, 세대와 세대를 잇는 연결고리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시민의 휴식공간입니다. 위치 #경의선숲길 #경의선공원 #경의선숲길공원 #마포구 #연남동 #.. 2024. 11. 10. 저녁 무렵 산책하기 좋은 청계천 풍경(짧은 글) 저녁 무렵 청계천을 걷는다. 노을빛이 물 위로 부드럽게 번지고 사람들은 저마다의 사연을 안고 걷고 있지만 청계천은 언제나처럼 그들의 이야기를 품고 흐른다. 저녁 무렵 청계천은 역시 최고!! #청계천 #노을 #저녁무렵 #걷다 #산책 #산책하기좋은 #짧은글 2024. 11. 9. 미소(짧은 글) 출근길 아침 지하철 역으로 향하던 발걸음 넘어 맞은편에서 걸어오는 한 노인을 보게 되었다. 불편한 걸음으로 천천히 다가오던 그 노인의 얼굴에는 밝고 환한 미소가 가득했다. 마치 무슨 좋은 일이라도 있는 듯 그의 얼굴은 세상 모든 걱정과 근심을 잊은 듯했다. 그의 환한 미소는 마치 가을 햇살처럼 내게 다가와 나도 모르게 입가에 기분 좋은 미소를 머금게 했다. 출근길의 분주함과 복잡함 속에서도 문득문득 그 노인의 미소를 떠올리며 나 역시도 이유 없이 그저 마음 가는 대로 웃어보려고 한다. 웃음을 아끼며 살지 말자 #미소 #웃음 #출근길 #짧은글 2024. 11. 8. 선택(짧은 글) 중국집 문턱을 넘기도 전에 고민은 깊어지고짜장의 어두운 단맛과 짬뽕의 붉은 열기 앞에서끝없는 선택의 무게를 느끼며나는 망설인다.그러나 결국 짜장도 짬뽕도 버리지 못한 채나는 짬짜면을 택했다. 선택 잘한 거야! #선택 #짜장면 #짬뽕 #중국집 #짬짜면 #고민 #점심 #짧은글 2024. 11. 7. 짧은 글 잃어버린 거 찾아가래 내가 뭘 잃어버렸는데 너의 행복 . . . "빨리 찾아가야겠다" 2022. 3. 5. 짧은 글 내가 나도 이해 못 하면서 내가 너를 이해하는 척하는구나 . . . "다른 사람을 이해하려 하기 전에 나를 이해하려 해보자" 2022. 3. 4. 짧은 글 난 그 노래가 좋은 줄 알았는데 단지 그 노래를 좋아하는 그 사람을 좋아했던 거였다. . . . "그 사람이 좋으면 그 사람 주변의 모든 것이 좋아지지" 2022. 3. 2. 마트에서(짧은 글) 마트에 진열된 상품들에는 소비자들이 들었다 놨다를 반복하게 만드는 보이지 않는 수많은 이유들이 덕지 덕지 붙어있다. "그냥 사는 거 같아도 많은 이유들이 있다" 2022. 2. 25. 짧은 글 과거를 회상하고 과거를 말하는 시간이 늘어나는 만큼 우린 늙어 간다. . . . "앞으로 만들어 갈 시간을 이야기 하자" 2022. 2. 24. 짧은 글 어제가 오늘이 되는 무한 반복 속에서 새로운 미래를 기대하면 안 된다. . . . "그래서 하루하루가 지루 하구나 어제와 오늘이 달라야 미래도 있다." 2022. 2. 23.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