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용어90 대용증거금이란? 대용증거금이란?대용증거금은 현금 대신 내가 보유한 주식을 담보로 맡기고 증거금으로 활용하는 방식입니다.즉, "현금 대신 주식으로 증거금을 내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대용증거금 언제 쓰이냐?상황설명신용거래주식담보로 돈 빌릴 때ELW/선물옵션 거래증거금 일부를 주식으로 대신 낼 때미수거래결제일까지 담보로 인정될 때◈ 대용증거금 계산법대용가 × 대용증거금률 예시내가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 평가액 = 1,000만 원대용률 = 70%대용증거금률 = 100% (증권사 정책 따라 다름)대용가 = 1,000만 원 × 70% = 700만 원대용증거금 = 700만 원 × 100% = 700만 원정리: 대용가가 증거금으로 100% 인정되는 경우도 있고, 80%만 인정되는 경우도 있음 (이건 증권사마다 차이)◈ 대용증거금.. 2025. 4. 9. 대용가란? 대용가란?대용가(代用價)는 내가 가진 주식을 담보로 맡겼을 때 그 주식이 얼마의 담보가치로 인정되는지를 의미합니다. 즉, 주식의 "담보평가액"이라고 보면 됩니다.◈ 대용가 쉽게 풀이예를 들어 내가 삼성전자 주식 100주를 보유하고 있고 삼성전자 1주의 현재 주가는 70,000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이 경우 보유 주식 평가액 = 70,000원 × 100주 = 7,000,000원하지만, 증권사에서 이걸 100% 다 담보로 인정해주진 않습니다. 보통 대용률이라는 걸 적용해서 일부만 인정해줍니다.만약 삼성전자의 대용률이 70%라면 대용가 = 7,000,000원 × 70% = 4,900,000원◈ 대용가 왜 중요할까?신용거래할 때: 주식 담보로 돈 빌릴 때 대용가로 평가파생상품(선물·옵션·ELW) 거래할 때:.. 2025. 4. 7. 풋워런트(Put Warrant)란? 풋워런트(Put Warrant)란?풋워런트는 특정 기초자산(개별 주식이나 주가지수)을 미래의 정해진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증권입니다. 즉,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상품입니다.◈ 풋워런트 기본 구조구분내용기초자산개별 주식 (네이버, 현대차 등) 또는 주가지수 (코스피200 등)권리미래에 비싸게 "팔 권리" (가격 하락 베팅)만기보통 3개월~1년가격 구성내재가치 + 시간가치투자 방향주가 하락 시 수익, 주가 상승 시 손실◈ 수익구조 예시구분설명기초자산 주가현재 80,000원행사가격75,000원만기일 주가70,000원풋워런트 수익(75,000 - 70,000) = 5,000원 이익반대로주가가 75,000원보다 높으면 권리 포기 (손실)◈ 풋워런트 매력 포인트1. 하락장에.. 2025. 4. 5. 콜워런트 투자 핵심 팁 10가지 " 콜워런트 투자 핵심 팁 10가지 " 1. 주가 흐름 "강한 상승" 때만 진입약한 반등이 아니라, 강한 상승 트렌드에서 진입해야 수익 극대화박스권 장에서는 시간가치만 손실남특히 급등주나 이벤트성 호재 뉴스 터진 종목 집중2. 기초자산 = "거래량·인기 많은 대형주" 위주삼성전자, 네이버, 현대차, 카카오 같은 대장주 콜워런트 추천그래야 호가 갭도 적고 체결도 빠름3. 만기 짧게, "1~3개월 이내" 선택만기 길면 시간가치 하락으로 불리단기 이벤트 대응용으로 짧은 만기가 유리4. 행사가격은 "적당히 높은 구간" 선택주가 80,000원일 때, 85,000원 콜이 무난너무 먼 가격 (예: 95,000원)은 저렴해 보이지만 성공 확률 극악5. 매수 타이밍 = "장 초반 or 강한 돌파 순간"장 초반 강세 시.. 2025. 4. 3. 콜워런트(Call Warrant)란? 콜워런트(Call Warrant)란?콜워런트는 특정 기초자산(개별 주식이나 주가지수)을 미래의 정해진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갖는 증권입니다. 즉, 주가가 오를 거라 예상하고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콜워런트 기본 구조구분내용기초자산개별 주식 (삼성전자, 현대차 등) 또는 주가지수 (코스피200 등)권리미래에 싸게 "살 권리" (가격 상승 베팅)만기보통 3개월~1년가격 구성내재가치 + 시간가치투자 방향주가 상승 시 수익, 주가 하락 시 손실◈ 수익구조 예시구분설명기초자산 주가현재 80,000원행사가격85,000원만기일 주가90,000원콜워런트 수익(90,000 - 85,000) = 5,000원 이익반대로주가가 85,000원 밑이면 권리 포기 (손실)◈ 콜워런트 매력 포인트.. 2025. 4. 1. ELW 투자법 ◈ ELW 투자 기본 흐름1. 방향 정하기: 상승/하락 예측주가 상승 예상: 콜워런트 매수주가 하락 예상: 풋워런트 매수2. 기초자산 선택개별주식 ELW: 삼성전자, 현대차 등 인기 종목지수 ELW: 코스피200, 코스닥150 등3. 만기·행사가격 선택만기 길수록 시간적 여유 (보통 3~6개월 추천)행사가격은 현재가와 너무 차이나면 레버리지는 크지만, 성공 확률 낮아짐4. 매매타이밍 잡기장 시작 전 시황 점검: 미국 증시, 환율, 금리 등 체크수급 확인: 외국인·기관 매매 동향 주목실시간 차트: 분봉·틱차트 활용해 타이밍 잡기◈ 핵심 포인트 5가지포인트설명방향성반드시 명확한 "방향성 뷰" 필요 (막연한 진입 금지)변동성변동성 큰 장에서 유리 (박스권 장은 시간가치만 손해)손절라인반드시 정해놓기 (안 그러.. 2025. 3. 30. 주식워런트증권 (Equity-Linked Warrant, ELW)이란? 주식워런트증권 (Equity-Linked Warrant, ELW)이란?주식워런트증권(ELW)는 특정 기초자산(주식이나 주가지수)을 미래의 특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증권입니다. 쉽게 말하면, 옵션(선택권)을 증권화한 상품이라고 보면 됩니다.◈ 특징구분내용기초자산개별 주식 또는 주가지수 (예: 삼성전자, 코스피200)권리 유형콜워런트 (살 권리) / 풋워런트 (팔 권리)만기보통 3개월~1년 정도레버리지적은 금액으로 큰 금액 효과를 누릴 수 있음위험성만기까지 가치가 없으면 전액 손실 가능 (고위험)◈ 종류종류설명콜워런트 (Call Warrant)기초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에 살 권리풋워런트 (Put Warrant)기초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에 팔 권리◈ 왜 투자하나?이유.. 2025. 3. 28. 통상임금이란? 통상임금이란?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정상적인 근로시간에 대해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받는 기본적인 임금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근로자가 매달 꾸준히 받는 급여 중에서 기본적인 근무시간에 대한 보상으로 인정되는 금액이라고 보면 됩니다.통상임금의 기준법적으로 통상임금으로 인정되려면 다음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조건설명정기성일정한 주기(매월 등)로 지급일률성모든 근로자(또는 일정한 범주의 근로자)에게 동일 기준으로 지급고정성사전에 정해진 금액이 조건 없이 지급통상임금에 포함되는 것기본급직무수당, 직책수당 (정기적으로 지급될 경우)근속수당 (정기 지급되는 경우)통상임금에서 제외되는 것성과급·상여금 (경영 실적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명절상여금·휴가비 (특정 시기에만 지급)식대·교통비·가족수당 (.. 2025. 3. 26. 테일러 준칙이란? 테일러 준칙이란?테일러 준칙은 미국의 경제학자 존 테일러(John Taylor)가 1993년에 제시한 경제이론으로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지를 수식으로 정리한 규칙입니다. 중앙은행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금리를 조절해 물가안정과 경기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것입니다. 테일러 준칙은 이 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준금리 결정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규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테일러 준칙의 기본 원리테일러 준칙은 크게 두 가지 상황을 고려해 금리를 조정해야 한다고 설명합니다.물가 수준 변화 반영현재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율)이 중앙은행의 목표 인플레이션율보다 높으면 금리를 인상해 물가를 잡아야 합니다. 반대로 물가상승률이 목표치보다 낮으면 금리를 인하해 경기를 부양해.. 2025. 3. 24. 기축통화(基軸通貨, Key Currency) 기축통화란?기축통화(基軸通貨, Key Currency 또는 Reserve Currency)는 국제 거래에서 기준이 되는 주요 통화를 의미합니다. 전 세계 무역, 금융 거래, 외환 보유 등에서 신뢰성 있고 안정적인 화폐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통화입니다.대표적인 기축통화현재 가장 대표적인 기축통화는 미국 달러(USD)입니다. 이외에도 일부 주요 통화들이 부분적인 기축통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통화 국가 비중미국 달러 (USD)미국약 60% 이상 (외환보유고 기준)유로 (EUR)유로존약 20% 내외일본 엔 (JPY)일본약 5% 내외영국 파운드 (GBP)영국약 4% 내외중국 위안화 (CNY)중국비중은 아직 낮지만 상승세기축통화의 특징안정성: 가치가 크게 흔들리지 않아야 함유동성: 언제든지 원하는 만큼 거래가 가.. 2025. 3. 22. 토빈세(Tobin Tax)란 토빈세(Tobin Tax)란?토빈세는 단기적인 외환 거래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투기적 자본 이동 억제를 목적으로 합니다. 1972년 경제학자 제임스 토빈(James Tobin)이 제안했으며 환율 안정과 금융시장 건전성 확보를 위해 사용됩니다. 핵심목표: 단기 투기 자본 이동 억제적용 대상: 외환 거래 (특히 단기 매매)세율: 일반적으로 0.1% 이하의 낮은 세율왜 토빈세가 필요할까?외환 시장 안정화투기적 거래 감소 → 환율 급변 방지단기 투기 억제초단기 차익 추구 거래 비용 증가 → 투기 매력 감소재원 확보글로벌 문제 해결 (기후 변화, 빈곤 퇴치) 자금으로 활용 가능개도국 보호급격한 자본 유출입으로 인한 경제 충격 완화토빈세 적용 예시 거래 금액세율세금실제 수령액 (매도 시)1,000,000 USD0... 2025. 3. 20. 풋옵션(Put Option)이란 풋옵션(Put Option)이란?풋옵션은 옵션 거래에서 특정 자산을 미래의 정해진 가격(행사가격, Strike Price)에 팔 수 있는 권리를 매수자에게 부여하는 계약입니다. 핵심매수자: 미래 가격 하락에 대비해 자산을 팔 권리를 가집니다.매도자: 매수자가 원할 때 자산을 매수해야 하는 의무를 집니다.왜 사용할까?가격 하락에 대비 (헤지): 보유 자산의 가치 하락 위험 방지투자 수익 창출 (투기): 자산 가격 하락 시 풋옵션으로 수익 실현포트폴리오 방어: 주가 하락 시 손실 제한 가능풋옵션의 구조 예시항목내용기초 자산A사 주식행사가격50,000원옵션 프리미엄(옵션 가격)2,000원만기일3개월 후 시나리오 1: 주가 하락 (40,000원)시장에서 주식을 40,000원에 사서, 풋옵션으로 50,000원에 .. 2025. 3. 18.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