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MACD란?

by 다온다올과함께 2025. 5. 17.

 

MACD란?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는 두 개의 이동평균선 간의 관계를 이용해 추세의 방향성과 강도, 전환 시점을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좀 더 쉽게 말하면

  •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계산해서
  • 매수/매도 타이밍을 포착하는 데 사용됩니다.

 MACD 구성 요소

MACD는 크게 3가지 구성요소가 있습니다.

구성 요소 설명
MACD선 단기 EMA(12) - 장기 EMA(26)
Signal선 MACD선의 9일 EMA (평균선)
히스토그램 MACD선 - Signal선 간의 차이 (막대 그래프)

EMA = Exponential Moving Average (지수이동평균), 최근 데이터에 더 가중치를 둔 평균


 MACD 차트 예시 해석

     ↑    MACD선이 Signal선을 아래→위로 뚫는 순간 = 매수 신호
     ↓    MACD선이 Signal선을 위→아래로 뚫는 순간 = 매도 신호

   Signal선 ───────────
      ▲
      │
 MACD선 ↗↘↗↘ (교차점 중요!)
      │
   히스토그램 (봉 형태로 위아래 진동)

 


 MACD 실전 해석법

1. 골든 크로스 (매수 시그널)

  • MACD선이 Signal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할 때
  • 추세 전환 + 상승 가능성 있음

2. 데드 크로스 (매도 시그널)

  • MACD선이 Signal선을 위에서 아래로 이탈할 때
  • 하락 전환 가능성 커짐

3. 히스토그램 활용

  • 막대가 커지면 → 추세가 강해지고 있음
  • 막대가 줄어들면 → 추세 약해짐, 전환 가능성

 실전 예시

현재 주가가 상승 중인데 MACD선이 Signal선을 아래에서 위로 돌파했다 + 히스토그램이 양수로 전환됐다.
추세 상승이 본격화될 가능성 ↑ = 매수 고려

 

반대로, MACD선이 위에서 아래로 꺾이면서 Signal선을 이탈
하락 전환 가능성 ↑ = 매도 고려


 MACD 장점

장점 설명
추세의 전환 시점을 예측 가능 방향 전환 타이밍 포착에 강함
시각적으로 직관적 선과 봉 형태로 쉽게 해석
RSI보다 노이즈가 적음 단기 흔들림에 덜 민감함

 MACD 단점

단점 설명
느리다 추세를 확인하고 반응하는 지표이므로 신호가 늦을 수 있음
횡보장에선 오히려 헷갈림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으면 가짜 신호 발생 가능

 RSI vs MACD 비교

항목 RSI MACD
기준 가격의 변화 강도 이동평균선의 차이
성격 모멘텀 지표 추세 지표
반응속도 빠름 (예민) 느림 (확인용)
주요 기능 과매수/과매도 포착 추세 전환 포착

실전에서는 RSI와 MACD를 함께 활용하면 정확도 향상됨


 MACD 활용 팁

  • 다이버전스(Divergence)도 확인
    • 주가는 상승하는데 MACD는 하락 → 하락 전환 경고
  • 거래량과 함께 사용하면 신뢰도 상승
  • MACD + RSI 조합
    • MACD가 골든크로스 + RSI가 40~50이면 추세 전환 가능성 높음

 실전에서 MACD 보는 법

  • 대부분의 차트 툴(TradingView, 네이버 증권, HTS 등)에서 MACD 추가 가능
  • 일반적으로 하단에 MACD선/Signal선/히스토그램 3가지를 표시함

 

 

 

 

 

 

#경제 #경제용어 #주식 #MACD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I란?  (0) 2025.05.15
박스권(Box Range)이란?  (0) 2025.05.13
저항선이란?  (0) 2025.05.11
지지선(支撑線, Support Line)이란?  (0) 2025.05.09
스윙투자란?  (0) 2025.05.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