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산업은 경제가 어려워질 때도 상대적으로 수요가 유지되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산업을 의미한다. 경기 침체기에는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려 하고 기업들도 비용을 절감하려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산업들은 타격을 입지만 아래의 산업들은 경기 변동과 무관하게 꾸준한 수요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성장하는 경향이 있다.
불황에도 살아남는 산업 (불황산업) 상세 분석
1. 필수 소비재 (FMCG, Fast-Moving Consumer Goods) 산업
경기와 상관없이 사람들이 생존을 위해 반드시 구매해야 하는 제품들을 판매하는 산업
대표 품목
- 식료품(쌀, 라면, 빵, 우유 등)
- 생필품(화장지, 샴푸, 세제, 치약 등)
- 저가형 화장품 및 위생용품
불황 시 특징
- 고급 브랜드보다 가성비 좋은 제품이 인기를 끔. (예: 대형마트보다는 할인점이나 온라인몰이 성장)
- 프리미엄 제품의 소비는 줄지만, 기본 생필품 수요는 일정하게 유지됨
- PB(Private Brand, 자체 브랜드) 제품이 인기를 끌면서 마트 브랜드 상품이 성장함
관련 기업
- P&G, 유니레버, 코카콜라, 농심, 오뚜기, CJ제일제당
2. 의료 및 제약 산업
질병이나 건강 관리는 경기 상황과 무관하게 필수적인 분야.
대표 품목
- 의약품(감기약, 소화제, 영양제 등)
- 병원 및 의료 서비스(치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등)
- 건강보조식품(비타민, 홍삼, 오메가3 등)
불황 시 특징
- 건강이 악화되면 병원을 방문해야 하므로 의료 수요는 유지됨
- 고급 병원보다는 보험이 적용되는 저렴한 병원을 찾는 경향이 있음
- 면역력 강화, 건강 유지를 위한 건강식품 및 영양제 소비가 증가함
관련 기업
- 한미약품, 유한양행, 삼성바이오로직스, 화이자(Pfizer), 존슨앤존슨
3. 저가형 소비재 및 할인 매장
돈을 아끼려는 소비자들이 고급 브랜드 대신 저렴한 상품을 찾게 됨
대표 기업 및 매장
- 다이소, 노브랜드(이마트), 트레이더스, 코스트코, 알디(ALDI), 월마트(Walmart)
- 중고 거래 플랫폼(번개장터, 당근마켓, 중고나라)
불황 시 특징
- 명품 브랜드 대신 가성비 좋은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함
- 중고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리셀(Resell) 시장이 커짐.
- 할인 마트, 창고형 마트에서 대량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남.
4. 공공요금 및 필수 서비스 산업
생활 필수 서비스(전기, 수도, 가스, 통신 등)는 경기와 무관하게 유지됨.
대표 기업
- 한국전력, 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인터넷 및 통신)
- 지역별 가스/전력 공급 회사
불황 시 특징
- 외식 대신 집에서 요리하는 사람이 늘면서 가정용 전기/가스 소비 증가
- 스트리밍(넷플릭스, 유튜브, 왓챠 등) 및 인터넷 사용량 증가
-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길어지면서 저가 요금제 이용 증가
5. 가성비 오락 산업 (넷플릭스, 게임 등)
돈을 많이 쓰지 않으면서도 즐길 수 있는 오락이 각광받음.
대표 기업 및 서비스
- 넷플릭스, 디즈니+, 유튜브 프리미엄, 애플TV+
- 모바일 게임(리니지, 배틀그라운드, 원신, 포트나이트)
- 콘솔 게임(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엑스박스)
불황 시 특징
- 여행, 외식, 공연 관람 등의 고가 소비 대신 저렴한 엔터테인먼트가 성장
-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콘텐츠(OTT, 게임, 유튜브 등) 이용률 증가
- 무료/저가형 서비스(광고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 등)가 인기를 끌게 됨.
6. 교육 및 자격증 산업
실업률 증가와 함께 스펙을 쌓으려는 사람들이 늘어남.
대표 분야
- 온라인 강의 (코세라, 유데미, 인프런)
- 공무원 및 자격증 학원 (행정고시, 토익, 컴퓨터 활용능력 등)
- IT 코딩 및 직업교육 과정 (프로그래밍, 데이터 분석, 마케팅 등)
불황 시 특징
-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공무원 시험, 자격증 시험 준비생 증가
- 기존 직장인들도 이직을 준비하며 자기 계발을 위해 학습 증가
- 대학 졸업 후 취업 대신 대학원 진학을 고려하는 경우도 많아짐
관련 기업
- 메가스터디, 해커스, 패스트캠퍼스, 코세라, 유데미
7. 수리 및 유지보수 산업
새 제품을 사는 대신 기존 제품을 고쳐 쓰려는 경향이 강해짐.
대표 분야
- 자동차 정비(엔진오일 교환, 타이어 교체 등)
- 가전제품 및 스마트폰 수리(핸드폰 액정 교체, 노트북 수리 등)
- 중고차 및 중고 가전 거래
불황 시 특징
- 새 차 구매보다는 중고차 구입 및 기존 차량 유지보수 수요 증가
- 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등)도 새 제품보다 수리해서 사용하려는 경우 증가
- 리퍼비시(Refurbished) 제품 판매량 증가
관련 기업
- 애플 리퍼비시, 삼성 서비스센터, 자동차 정비소
불황 속에서도 성장하는 산업 특징 요약
- 생존과 직결된 소비 (식료품, 의료, 공공요금)
- 고급 소비 대신 가성비 좋은 상품 수요 증가 (다이소, 할인매장, 중고거래)
-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오락 (넷플릭스, 게임, 유튜브 등)
- 취업 및 자기계발 수요 증가 (교육, 자격증, 코딩 강의 등)
- 새 제품보다는 기존 제품 유지보수 (수리, 중고차, 리퍼비시 제품)
#경제 #경제용어 #불황산업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Short Selling)와 주가 하락의 관계 (0) | 2025.04.27 |
---|---|
불황이 보험 산업에 미치는 영향 (0) | 2025.04.25 |
금 현물 투자 (0) | 2025.04.21 |
Bear Market(약세장)이란? (0) | 2025.04.19 |
Bull Market(강세장)이란? (0) | 2025.04.17 |
댓글